멘토링. 11610 Խù ϵǾֽϴ. (460/ 581 page)
ȣ | ۼ | ۼ | |
---|---|---|---|
2430 | 이신춘 | 이곳 훈련생은 확실히 뛰어나다. 영어는 언어다.기본을 다지고, 토론과 영어원서로서 한 단계를 넘어서길! 궁즉통! | 2012-05-03 11:28:45 |
2429 | 이신춘 | 이처럼 말은 자신의 합리화와 상황에 따라 바뀌게 된다. 이런모순에도 우리가 믿고 갈 것은 실력밖에 없다. 모르는 사람이 없던 일도 마치 아는 사람이 없다할지라도 정의는 반드시 밝혀지는 것처럼! | 2012-05-03 11:21:15 |
2428 | 이신춘 | "나의 어머니가 안다"는 의미는 상황에 따라 다 다르다. 이병헌을 Tv에서 보았기에, 박코치를 사랑하는 손주가 삼촌과 함께 쿵푸팬더를 하는것을 보았기에 | 2012-05-03 11:18:43 |
2427 | 이선우 | There is no reason not to follow your heart. | 2012-05-03 08:29:12 |
2426 | 서지형 | 실수-> 실패-> 하지만 다시 도전->...그리고 “성공” | 2012-05-03 01:10:34 |
2425 | 서지형 | “실수”,“실패” 라는 단어가 있으니까 “도전”, “성공‘ 이라는 단어가 있는 거야. | 2012-05-03 01:10:19 |
2424 | 서지형 | 도전은 실패할지 성공할지 몰라. 처음엔 많이 실수 할꺼야. 시간이 자나서도 실수 할지도 몰라. 아니, 많이 할 테지.. 하지만..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전!!! 사람은 혼자 사는 동물이 아니야. 뭐 어때?? 그까이꺼! 도전해봐!!! 실수 좀 하면 어때??? | 2012-05-03 01:05:48 |
2423 | 서지형 | 새로운 뉴스, 시트콤이 온다. 그것이 복이며, 새로운 뉴스, 시트콤으로 훈련한다. 그것이 기회이며, 새로운 뉴스, 시트콤으로 소통한다. 그것이 즐기는 것이다. | 2012-05-03 01:00:41 |
2422 | 서지형 | 밥? 굶어도 좋다. 잠? 안자도 좋다. 그러나 성공은 포기 못하겠다. 그리고 나 자신에게 묻는다. 너는 너 자신을 완전히 연소 시킨 적이 있니? | 2012-05-03 00:57:29 |
2421 | 서지형 | 과제(일)들이 온다. 그것이 복이며, 과제(일)를 작업 한다. 그것이 기회이며, 과제(일)과 혹은 조원들과 소통한다. 그것이 즐기는 것이다. | 2012-05-03 00:53:38 |
2420 | 유해성 | 이미 익숙하게 알고 있는 단어들의 용례를 착실히 익혀가자. 어떻게? 사전을 활용해서.. | 2012-05-02 22:37:26 |
2419 | 서지형 | If you have no voice, scream. If you have no legs, run. If you have no hope, invent | 2012-05-02 15:58:53 |
2418 | 서지형 | If you have no voice, scream. If you have no legs, run. If you have no hope, invent | 2012-05-02 15:58:35 |
2417 | 이신춘 | 이런 기본에 익숙하지 않고, 학원에서 시키는데로 끌러다니기에 공부가 굉장히 힘든 것이고, 누구나 잘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이다. 이것을 극복할려면 남보다 더 많은 열정과 노력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되며 꿈의 비주얼화이다. 내 그릇은 내가 만드는 것! 남이 한다 | 2012-05-02 08:55:31 |
2416 | 이신춘 | 박코치의 소리그릇은 영어를 담아낼 수 있는 그릇을 만드는 과정이 필수이다. 이 그릇이 크면 클수록 많은 것을 담아내는 것! 이 역시 기본적인 영어를 이수할 수 있는 능력이다. 공부도 마찬가지이다. 기본적인 사고력! 독서를 통한 치열한 정신적 투쟁! 반복을 통한 | 2012-05-02 08:52:53 |
2415 | 이신춘 | 대학수학능력이라 함은 대학에서 수학할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. 또한 대학에서 교육하는 것은 전문가가 되는 것이다. 학과에 따라서 조금의 차이가 있는 것이지만 말이다. | 2012-05-02 08:50:11 |
2414 | 이선우 | It is that you become what you think about most of the time. | 2012-05-02 08:26:38 |
2413 | 서지형 | 한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 + 다른 분야에 대한 상식과 포용력 + 커뮤니케이션 능력 -안철수 교수- | 2012-05-02 00:42:58 |
2412 | 서지형 | "A"형 전문가. 한국인에게 적합한 전문가 이다. 즉, 한 분야의 깊이 있는 지식 + 다른 분야의 상식과 포용력 + 커뮤니케이션 능력 -안철수 교수- | 2012-05-02 00:41:58 |
2411 | 이선우 | you are the most important person. | 2012-05-01 20:19:3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