멘토링. 11610 Խù ϵǾֽϴ. (483/ 581 page)
ȣ | ۼ | ۼ | |
---|---|---|---|
1970 | 서지형 | I don't take no for an answer and I just do it!! | 2012-02-08 18:14:46 |
1969 | 이선우 | first of all, try more thing ane second of all, never give up. | 2012-02-08 09:12:54 |
1968 | 윤정화 | 아..저두..훈련성공담..ㅠㅠ | 2012-02-07 22:57:18 |
1967 | 오명석 | 음입니다. 많은 분들께 도움을 드리기 위해선 전달자가 그만큼 양질의 내용물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는 판단으로 글쓰기를 미루고 있습니다. 게으른 자의 변명이라고 생각해주시고 생각과 실력을 조금 더 다진 후에 꼭 글을 남기겠습니다! | 2012-02-07 21:46:15 |
1966 | 오명석 | 트레이니(너)들에게 약속한 대로 '나의 훈련 성공담'에 저의 훈련 담과 그 방법을 담은 글을 쓰고 싶으나, 스스로 느끼기에 아직까지 너무나도 비루한 실력이라 고민을 거듭하며 현재까지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그만큼 신중하게 접근하고 싶은 마 | 2012-02-07 21:44:06 |
1965 | 이신춘 | 우리가 한국어를 잘하지만 한국의 문법과 문학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. 경제, 역사!같은 시사는 때로 봐야하는 것! 빨리가려하지말고 단계를 밟고 즐기면서 가길!!! | 2012-02-07 20:25:37 |
1964 | 이신춘 | 자신을 믿어라! 처음에는 박코치말씀대로 소리그릇을 만들면서 다른이들에게 콩글리시로 말하고, 이 과정을 거치면서 유창한 회화로 나아간다. 그 다음에 고급수준으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치는 과정! | 2012-02-07 20:23:06 |
1963 | 이신춘 | 공부(工夫)는 한자로서 쿵후라고 읽는다. 이유가 즉 무술처럼 훈련! 즉 사고의 훈련이라는 것이다. 즉 생각하는 방법을 훈련하는 것이다. 또한 박코치어학원에서 실시하는 훈련자체와 같다는 것이다. 단지 있다면 뇌를 훈련하는 것과 몸 전체를 훈련하는 것의 차이이다. | 2012-02-07 20:16:43 |
1962 | 신정아 | 그럼에도 불구하고... Just do it! | 2012-02-07 11:35:05 |
1961 | 이선우 | you should improve every part of your life. | 2012-02-07 09:25:52 |
1960 | 서은령 | 효녀트레이너 크리스틴, hearty congratulations on your wedding in this new spring~ | 2012-02-07 06:18:21 |
1959 | 이신춘 | 장기에 빠져서 잠잘 때도 동네할아버지들이 왜 그런 수를 두었는지 고민하는 습관! 상대방의 마음을 읽으려는 것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어있어 늘 감사한다. 당구에 빠진 사람들이 당구밖에 보이지 않듯이 미치지 않으면 이룰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. 멋지게 미치길!!!! | 2012-02-06 19:43:32 |
1958 | 이신춘 | 박코치어학원이 없을 때, 여의도 공원호수에서, 한강 다리 밑에서,혼자서 소리를 질러가며, 외치던 기억이 새롭다. 공부하는 것이 꿈이였을 나의 부모와 선조! 우리는 이런 현실속에서 살고 있다. 한 번더 생각을!!! | 2012-02-06 19:41:50 |
1957 | 정은주 | 해보지머!!! | 2012-02-06 16:39:18 |
1956 | 김지혜 | 영어'훈련'이 세상에서 가장 재밌었어요~ | 2012-02-06 14:03:48 |
1955 | 이선우 | successful people are always taking action | 2012-02-06 09:08:45 |
1954 | 이신춘 | 젊다는 것이 뭔가? 작은 것에서부터 당당해야 이것이 쌓이고, 경험으로 결국 자신만의 강점으로 남는다. 이것을 알아보는 사람과 만나면 이 능력을 발휘할 것이다. 준비하고 성취하길! | 2012-02-05 11:57:08 |
1953 | 이신춘 | 1문장을 24번 정도 반복해야 기억에 남는다한다. 뇌과학에서 말하는 반복! 강한 자극! 핵심은 실천! 뇌상감동! | 2012-02-05 11:54:45 |
1952 | 서지형 | 하나의 뉴스, 시트콤, 영화를 3번 반복하는 것이, 3개의 타픽을 1번 보는 것보다 효과가 크다! 복습의 중요성!!! -공부의 신- | 2012-02-04 22:41:59 |
1951 | 서지형 | 1X3과 3X1의 차이? = 1X3 > 3X1 한권의 책을 세번 반복하는 것이, 3권의 책을 한번 보는 것보다 크다. | 2012-02-04 22:40:41 |